본문 바로가기
잡다한지식

설날에 떡국 먹는 이유는 (ft. 신정 vs 구정)

by 이방인의지식 2023. 1.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방인입니다.


다음주면 벌써 2023년의 설날이 오는데요.

 

 

모두 설 잘 쇠시길 바랍니다.

여기서 '쇠다'는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여 나쁜기운을 쫓아낸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여러분 혹시,

설날이 어원과 유래 그리고
설날에 떡국 먹는 이유를 아시나요?



 




설날의 뜻

설날은 사전적으로 음력 1월 1일,

새해의 첫날, '모든 것을 새로 시작하는 날'을 의미합니다.



 

설날의 어원

 

설날의 어원은 몇가지 설이 있습니다.

1. 새해의 첫날에 일년 동안 무탈하게 지내게 해달라는 바람을 담아 만들어졌다는 설

2. 선다 (한 해를 새로 세운다.)

3. '섦다'라는 뜻의 옛말이 어원 (섦다 - 삼가다,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뜻)

4. 낯설다 (새해에 대한 낯설음, 익숙하지 못한 날)

5. 나이를 한 살 더 먹어 '서럽다'

 

 

이 중에서도 가장 유력한 설의 어원

'낯설다'와 '삼가다'로 새롭게 시작하는 날

몸과 마음가짐을 바로 하고

행동과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민족 최대 명절인 '설날'이 언제부터 시작 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삼국시대부터 설에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기록에 따르면 신라시대 때도 '설'이라는 말을 널리 쓰고 있었고

고려시대에는 9대 명절 중 하나로

조선시대는 4대 명절 중 하나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신정 vs 구정

 

 

한국은 옛날부터 농경사회로

태양력이 아닌 '음력'을 근거하여 시간을 계산했습니다.

 

1896년 일본의 압력으로 태양력이 도입되었고

 

그들은 자신들의 시간체계에 맞는 '양력설'을 새롭고 진취적인것이라 하여 '신정'이라 부르고

 

피식민지인 한국인들이 쇠는 '음력설'을 오래된 것이라 하여 '구정'이라 불렀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들어서면서 '양력설'만 공휴일로 지정하였는데,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전통적인 세시풍속인 '음력설'을 고집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도 일본처럼 양력 1월1일(신정)에 의무적으로 명절을 보내라는 일본의 명령이 내려졌고, 음력 1월1일(구정)에 세배를 할 경우 엄벌을 처한다고 했답니다.

1989년 정부에서 음력설을 '설날'이라 명명하고 3일간 휴무를 주었고,

양력설에는 하루의 휴무를 정해 지금의 신정과 설날연휴의 모습이 되었습니다.

 

 

 

이로써 신정은 일년의 시작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갖고,

설날(구정)은 전통적인 상징성이 지속되어 설의 이중체계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

 

 

 

설날 음식하면 대표적인 것이 바로 '떡국'입니다.

가래떡을 타원형으로 썰어 장국에 끓이는 것으로

'흰색 음식'으로 새해를 시작함으로써

천지 만물의 부활신생을 의미하는 '종교적 뜻'이 담긴 것입니다.

새해 첫날 1년을 준비하는 깨끗하고 정결한 마음가짐을 갖고자 했고,

순수무구한 경건의 의미를 담고 있는 음식입니다.

 

떡국을 만들 때 가래떡을 길게 늘여 뽑는데,

이는 '재산이 쭉쭉 늘어나라'는 축복의 의미를 담고,

가래떡을 동전처럼 둥글게 써는 이유는

그 모양이 마치 옛날 화폐인 엽전의 모양과 비슷하여

새해의 재화가 풍족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습니다.

 


 

꿩 대신 닭?

 

원래의 떡국은 꿩고기를 재료로 썼으나,

꿩고기가 없는 경우 닭고기를 썼는데요.

여기서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생겨났다고 합니다.

 

 

떡국에서 이런 유명한 속담말이 나왔다니 신기하네요.

 

떡국은 '첨세병 (나이를 더 먹는 떡)'이라는 별명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어른들이 아이들의 나이를 물을 때,

'몇 살이냐'라고 묻기보다는 '떡국을 몇그릇 먹었느냐?'라고 묻곤 했습니다.

 

하지만 떡국은 나이를 한살 더 먹을뿐만 아니라

희고 뽀얗게 새로이 태어나라고 만든 음식이기도 해서

순백의 떡과 국물로 지난해 묵은 때를 깨끗이 씻어버리는 것

 

 

 


 

세뱃돈의 유래

 

원래 세배 후 어른들이 주시는 건

덕담을 적은 종이가 담긴 복주머니였다고 하는데,

이렇게 이어져오다 1970년대 우리나라 경제가 크게 발달하면서

덕담과 함께 용돈을 함께 주면서 지금의 '세뱃돈'이 되었다고도 하고

우리의 풍습이 중국의 영향을 받아 점차 돈으로 바뀌게 되었다고도 합니다.

 

 

 

아무튼 어른들이 주시는 돈은 '복돈'이기에 한 해 동안 복을 많이 받으라는

의미도 담고 있다고 하니 더욱 따뜻하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복조리

원래 '조리'라는 이름을 가진 물건으로

설날 아침 복조리를 벽에 걸어두면 복을 담는다고합니다.

'조리'는 본래 쌀을 이는 데 사용하는 기구인 만큼

쌀알이 많을수록 재물을 많이 얻게 된다는 의미를 담고있다고합니다.

 

 


윷놀이

윷놀이는 편을 갈라 윷으로 승부를 겨루는 놀이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전해 오는 우리 고유의 민속놀이면서

현재까지 전통을 이어오고있다고 합니다.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날까지 남녀노소 누구나 즐겼으며, 풍년을 기원하는 소망이 담겨있다고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