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방인입니다.
우리가 공압 제품을 구매하면,
카탈로그에 도면 기호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도면 기호가 표기되어 있는 이유는
간단한 표시 기호만으로도
이 장치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쉽게 유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겉보기에는 어떤 기능을 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장치들도
도면 기호를 보면 쉽게 판단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도면 기호 1탄 - 기초편 입니다.
유튜브 '공대언니 이지공압'님의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이분 설명이 정말 깔끔합니다..
직접 영상을 보시면 더 도움이 많이 됩니다.
위에있는 사각형은 제어 밸브 위치 표시 기호입니다.
'위치' 또는 'Position'이라고 부릅니다.
붙어있는 사각형의 개수는
밸브 전환 위치의 개수를 뜻합니다.
2개면 '2위치' 또는 '2 Position'이라고 부르고
3개면 '3위치' 또는 '3 Position'이라고 부릅니다.
세번째로 위치 기호 내부에
유로와 폐로 표시 기호를 그립니다.
사각형 안의 직선은 유로를 나타내고
화살표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표시합니다.
그리고 'T'자 기호는 폐로를 나타냅니다.
'폐로'는 유체가 흐르지 않는 막힌 '유로'입니다.
그리고 유로의 접점부분은 점으로 표시합니다.
밸브와 연결된 외부배관은 제어밸브 기호밖에 직선으로 표시합니다.
제어밸브 표시 기호의 위에는 작업 포트,
밑에는 파워포트, 배기포트를 표기합니다.
표를 보시면 '숫자표기법'과 '문자표기법'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문자표기법'을 많이 사용했으나,
요즘에는 '숫자표기법'으로 많이 쓰입니다.
유체의 메인 파워포트는 '1 또는 P'로,
작업포트는 '2,4 또는 A,B'로,
배기포트는 '3,5,7 또는 R,S,T'로 표기됩니다.
여러가지 예가 있는데,
2포트는 파워포트에 숫자 1이,
출력포트에는 숫자 2가 표시됩니다.
3포트는 파워포트 1, 작업포트 2, 배기포트 3이 표시됩니다.
5포트는 파워포트 1, 작업포트2,4
배기포트는 3,5가 표기됩니다.
5포트 도면기호를 예시로
실제 밸브 내부구조와 비교해보겠습니다.
우선 공급유체가 파워포트1을 거쳐 작업포트 2로 출력됩니다.
다 사용된 유체는 4번 작업포트를 거쳐 5번 배기포트로 배기됩니다.
그리고 3번포트는 유체의 흐름이 막혀있는 상태입니다.
오늘 밸브기호 1탄은 여기까지 이구요.
다음편 2탄에서 위치기호 전환시 유체 흐름경로 변화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DC 모터란 무엇인가 (0) | 2023.05.05 |
---|---|
모터 고장 진단법 (ft. 전기초보) (0) | 2023.04.15 |
인터록 회로 5분 기초핵심정리 (ft. 다산에듀 전병칠) (0) | 2023.02.28 |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원리, 구조 (ft. 공대언니 이지공압) (0) | 2023.02.19 |
체크밸브의 원리, 종류, 기호, 사용방법 (ft. 주의할점) (0) | 2023.02.18 |